그리스의 비극 3대 작가인 '소포클레스'가 대표적인 비극 작품 '오이디푸스 왕'. 이 오이디푸스 왕이 바로 저명한 심리학자이자 정신과 의사였던 '지그문트 프로이트'가 이야기한 '오이디푸스 콤플렉스'의 어원이기도 하다. 흔히 '마더 콤플렉스'라고 부르는 것으로 어린 남자아이가 어머니를 독차지하려고 하는, 혹은 아버지를 경쟁 상대로 보고 콤플렉스를 느끼며 증오하는 심리를 말하지만 현대에 와선 이런 이론 자체가 신빙성이 떨어진다는 반박 의견도 많다. 델포이의 신탁 본론으로 들어가서, 그리스 문학이나 로마 문학을 말할 때 빼놓을 수 없는 것이 바로 「델포이의 신탁」이다. 이번 오이디푸스 왕에도 나오고, 로마 문학의 최고 걸작 '아이네이스'에도 나온다. 민주적인 이미지가 강한 고대 그리스 세계이지만, 그 안에는 ..
'베르길리우스'의 '아이네이스'에 따르면 로마인의 조상은 트로이 전쟁의 영웅 '아이네이아스'이며, 그의 후손인 '로물루스'에서 따서 '로마'라고 이름 붙여졌다고 한다. 로물루스도 레무스도 신의 아들 그리스 신화에서는 자주 신과 인간이 결혼하거나 아이를 마련하기도 하지만, 그 흐름은 그리스 문화의 영향을 많이 받은 로마 신화에서도 나타난다. 두 사람의 어머니는 아이네이아스의 피를 이어받은 알바 롱가 부족의 공주 '레아 실비아'로, 아버지는 군신 '마르스'(그리스 신화의 아레스). 두 사람이 탄생한 것은 기원전 8세기경으로 되어 있고, 트로이 전쟁이 있었던 것이 기원전 1200~1300년경으로 알려져 있기 때문에 그 사이 대체로 500년 정도의 시간차가 있다. 두 사람에게는 태어나면서부터 적이 있었는데, 삼..
그리스 및 로마 문학에서 빠트릴 수 없는 존재가 바로 '트로이 전쟁'의 이야기. 라틴 문학의 최고 걸작이라고 부르는 높은 '베르길리우스'의 '아이네아스'와 그리스의 대시인 '호메로스'의 '일리아스'와 '오디세이아' 등의 무대이기도 하고, 후세에는 17세기의 프랑스의 극작가 '장 라신'이 '안드로마케'의 무대로 한 것으로도 유명하다. 일의 발단은 결혼식 그리스 신화에서는 신과 인간이 맺어지기도 하는데, 이때는 '펠레우스'와 바다의 여신 '테티스'의 결혼식이었다. 덧붙여서 이 '펠레우스'라고 하는 청년은 이미 이전에 결혼했었는데, 상대는 프티아 왕의 딸 '안티고네'이다. 안티고네는 이올코스의 왕비 '아스티다메이아'에게 속아 자해하여 사망하게 된다. 어쨌든, 이 결혼식에는 모든 신들과 왕족이 초대받았지만, 불..
아이네이스의 개요 아이네이스(혹은 아이네이드)의 개요를 이해하는데 '트로이 전쟁'에 대해 알아두면 좋을지도 모른다. 트로이 전쟁은 그리스 문학과 로마 문학을 아는데 빼놓을 수 없는 사건으로 그리스의 대시인 '호메로스'의 유명한 저작 '일리아드'와 '오디세이아'도 트로이 전쟁에 대한 이야기다. 원래는 그리스 신화 속 하나의 이야기로, 아킬레스건으로 유명한 영웅 '아킬레우스'나 유명한 '트로이 목마' 등이 트로이 전쟁에서 나오는 이야기이기도 한다. 트로이 전쟁에 관해서는 또 다른 글에서 줄거리를 말하려고 하지만, 이번에 이야기하는 아이네이스의 주인공인 '아이네이아스'도 트로이 전쟁에서 활약한 장군의 이름으로, 그리스와 적대하고 있던 트로이의 장군이었다. 트로이의 목마 작전으로 괴멸한 트로이에서 탈출하는 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