베르길리우스의 고대 로마 제국의 최고 걸작 「아이네이스」

반응형

아이네이스

아이네이스의 개요

아이네이스(혹은 아이네이드)의 개요를 이해하는데 '트로이 전쟁'에 대해 알아두면 좋을지도 모른다. 트로이 전쟁은 그리스 문학과 로마 문학을 아는데 빼놓을 수 없는 사건으로 그리스의 대시인 '호메로스'의 유명한 저작 '일리아드'와 '오디세이아'도 트로이 전쟁에 대한 이야기다. 원래는 그리스 신화 속 하나의 이야기로, 아킬레스건으로 유명한 영웅 '아킬레우스'나 유명한 '트로이 목마' 등이 트로이 전쟁에서 나오는 이야기이기도 한다. 트로이 전쟁에 관해서는 또 다른 글에서 줄거리를 말하려고 하지만, 이번에 이야기하는 아이네이스의 주인공인 '아이네이아스'도 트로이 전쟁에서 활약한 장군의 이름으로, 그리스와 적대하고 있던 트로이의 장군이었다. 트로이의 목마 작전으로 괴멸한 트로이에서 탈출하는 데 성공한 아이네이아스는 여신 '유노'(그리스 신화의 헤라)의 분노를 사서 배가 난파, 그대로 카르타고에 표류하게 된다. 덧붙이자면 아이네이아스의 아버지는 주신 '유피텔'(그리스 신화의 제우스)의 직계로, 어머니는 '웨누스'(그리스 신화 아프로디테, 영어로는 비너스)의 아들이다. 해당 서사시는 로마에서 쓰였기에 본문에는 로마식 이름을 사용하기로 하였다. 그런데 카르타고에 도착한 아이네이아스는 여왕 '디도'의 보호를 받지만, 무슨 일이 있을 때마다 유노의 방해를 받게 된다. 덧붙여서 이 유노는 질투의 신이라고도 불리며, 대개 언제나 화가 나있다. 화가난 이유는 남편인 유피텔이 바람둥이이기 때문이다. 예를 들면 그리스의 영웅 '페르세우스'와 '헤라클레스'도 유피텔이 바람을 피운 결과 생긴 아이들이다. 그리스 신화에서 신들은 자주 사람과의 사이에 아이를 만들었다. 그리스 신화에 익숙한 사람이라면 헤라클레스를 죽게 만든 것도 유노인 것을 알고 있다고 생각한다. 어느 날 디도와 아이네이아스가 사냥에 나서자 유노의 분노로 폭우가 내렸다. 두 사람은 그 후 동굴로 피신하였다가 맺어지게 된다. 그 후 평온한 나날을 보내고 있던 아이네이아스였지만, 유피텔의 인도로 '라티움'이라는 땅으로 향하게 된다. 이 사이에 디도는 아이네아스가 자신을 두고 떠나자 자해해 버리지만, 아이에네아스는 라티움의 왕 '라티누스'의 마음에 들어 그이 딸 '라비니아'와 결혼하게 된다. 왕의 딸에게는 정혼자인 '투르누스'라는 남자가 있었고, 유노의 부추김으로 인해 두 사람은 결투하게 되지만, 아이네아스는 유노의 가호를 받은 투르누스와의 결투 끝에 승리하고 라티움의 왕과 되는 곳에서 이 이야기는 끝나게 된다.

반응형

이 라티움이 바로 이탈리아의 '로마'로 나중에 아이네이아스에게 2명의 아이가 생긴다. '로물루스'와 '레무스'이다. 라티움은 로물루스의 이름을 따서 「로마」가 되어, 그 후의 로마제국이 되는 스토리이다. 이야기의 배경과 쓰인 시기가 상당히 차이 나는데, 로마의 기원을 따라가면 그리스의 주신인 유피텔에서부터 시작되는 '유서 깊은 정통성 있는 나라'라는 이야기가 필요했던 것이다. 덧붙이자면, 아이네이아스가 상당히 박정한 느낌이 되어 버렸지만, 라티움의 왕은 델포이 신전의 신탁을 받고 있었는데, 당시의 그리스 세계에서 이 신탁은 절대적인 것으로 정당성을 부여하고 있다. 민주적인 이미지가 강한 그리스 세계이지만, 그 근저에는 역시 대중의 신앙심이 정치에 영향을 주기 때문에, 신의 의지에는 결코 거역할 수 없다는 것이다. 추가로 아이네이스 그 자체는 집필 도중에 '베르길리우스'가 병으로 죽어 버렸기 때문에 미완으로, 앞으로의 이야기가 어떻게 될 것이었는지는 지금이 되어서는 아무도 모른다. 또 하나 덧붙이면 '아이네이스'라는 제목의 의미는 아이네이아스의 노래라는 의미이다.

아이네이스를 쓴 베르길리우스

공화정 말기의 로마에서 제정 로마 초기에 활약한 인물로, 오비디우스나 호라티우스와 함께 3대 시인이라고 말해지는 인물이다. 베르길리우스가 후세에 미친 영향은 상당히 커서, 르네상스를 대표하는 예술가인 '단테'는 베르길리우스를 매우 존경하고 있으며, 대표작인 '신곡'에 베르길우스를 등장시키고 있다. 덧붙여서 아에네아스는 산문이 아니라 운문으로 구성되는 서사시다. 서구의 대표적인 문학은 서사시인 경우가 많다.

아이네이스를 쓴 시대 배경

베르길우스는 죽기 전에 미완성 상태의 아이네이스를 불태우라고 부탁했다고 한다. 그는 생애 완벽주의자로 미완인 상태로 작품을 내고 싶지 않았던 것 같다. 아이네이스가 필요했던 것은 초대 로마 황제 아우구스투스로, 그는 제정 로마의 권위를 높여 정당성을 주장할 필요가 있었다. 실제로 아우구스투스의 목적에 딱 맞는 작품으로, 아이네이스는 라틴 문학 최고 걸작이라고 불리며 역사에 이름을 남기고, 후세에 큰 영향을 주었다.

반응형

댓글

Designed by JB FAC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