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대 그리스의 군신 「아레스」

반응형

아레스

제우스와 헤라의 아이

그리스 올림포스의 주신 '제우스'는 많은 아내와의 사이에서, 또한 많은 불륜 상대와의 사이에서 아이를 낳았는데, '아레스'는 정실부인인 여신 '헤라'와의 사이에서 태어났다. 보통 제우스의 아이들은 헤라에 의해서 고통받는 경우가 많은데, 헤라의 아이들은 그런 방해 없이 순탄하게 자란 것 같다. 아레스는 창, 칼, 방패, 갑옷, 전차 같은 것들이 상징물로 전쟁의 신으로 묘사되는데, 같은 전쟁의 신인 이복누이 '아테나'가 지략이나 군략 같은 지성 쪽을 담당하고 있다면, 아레스는 원초적인 전쟁의 모습으로 묘사된다. 그는 전쟁의 폭력, 학살 같은 파괴적인 측면의 상징이며, 호전적인 성격과 사나운 성미를 가지고 있어서 다른 신들로부터 미움을 받았다고 한다. 이는 전해져 오는 그리스 신화에서 확인되는 것처럼 그리스인들 사이에서도 인기가 별로 없었던 것 같은데, 아마 그리스의 기록물들이 상당수 '아테나이'의 것이기 때문일 수도 있다. 아테나이는 전쟁의 여신 아테나를 섬겼으며, 아테나이의 라이벌이었던 스파르타에서 아레스를 숭배했기 때문이기도 할 것이다.

아프로디테와 아레스

아레스는 형인 '헤파이스토스'와 결혼한 미의 여신 '아프로디테'의 사랑을 받았다. 아름다움을 상징하는 아프로디테는 동시에 성욕을 상징하는 것으로 보이는 행동도 많이 하는데, 그런 여신에게는 호전적이고 사나운 아레스 같은 남자가 호감이었는지도 모르겠다. 아레스와 아프로디테는 심지어 밀회를 즐기다가 헤파이스토스가 설치해 놓은 그물에 걸려 많은 신들 앞에서 창피를 당하였음에도 계속 교제하였다고 한다. 둘 사이에는 공포의 '포보스'나 두려움의 '데이모스' 등의 자식들이 있었는데 아레스는 그 자식들과 함께 전쟁터를 돌아다니면서 적들에게 공포심을 불러 일으켰다고 한다. 아레스도 아프로디테 일편단심은 아니었던 것 같은데, 요정 '하르모니아'와의 사이에서 '아마조네스'를 낳았다고도 한다.

반응형

고대 그리스의 사법 재판소

아레스는 인간인 '아글라우로스'와의 사이에서 딸 '알키페'를 낳았는데, 그 딸을 '포세이돈'의 아들 '할리로티오스'가 겁탈하자, 분노하여 그를 때려죽였다고 한다. 이로 인해 포세이돈이 아레스를 고소하였고 신들의 재판소에서 올림포스 신들로 구성된 재판이 열렸다고 한다. 이후 재판 과정에서 아레스는 증거불충분으로 무죄가 선포되었다. 이 장소를 '아레이오스 파고스'라고 부르고, 언덕 한쪽에 아레스를 모시는 사원을 지었다고 한다. 고대 그리스에서는 범죄를 심판하기 위하여 아레이오스 파고스에서 재판을 열었다.

로마의 군신 마르스

아레스는 로마에서 '마르스'라는 이름으로 숭배되었는데, 전쟁의 신이자 동시에 농업의 수호자였다. 하지만 그리스와 다르게 마르스는 로마에서 매우 인기가 있었다. 그리스에서 단순히 전쟁의 파괴성을 나타낸 것에 비해 로마에서 마르스는 평화를 유지하기 위한 군사력으로 표현되었다. 당시 로마와 그리스의 문화적 차이가 그 영향을 나타낸 것으로 보인다. 로마 시대에 인기가 있었던 '마르쿠스'나 '마리우스' 같은 이름들도 마르스에서 따온 것이라고 한다. 남성을 상징하는 '♂' 기호도 마르스를 나타내는 기호였다고 한다.

반응형

댓글

Designed by JB FAC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