투명인간이 되기 위한 방법 4 - 왜곡
- 과학
- 2023. 3. 6.
반응형
그림과 같이 물체 뒤에서 오는 빛을 물체 앞으로 돌리고, 물체로부터 나오는 빛이 눈에 닿지 않도록 하면 물체를 보이지 않게 할 수 있습니다. 이렇게 빛을 구부리는 소재로 물체를 감싸는 것이 가능하면 물체의 모습을 볼수 없게 할 수 있습니다. 최근에는 메타물질이라는 인공 물질이 개발되었습니다. 메타물질은 물질이라고 해도 식염이나 철 덩어리와 같은 단일 주고의 물질이 아니라 미세한 구조 단위를 반복 배열시킨 인공적인 구조물입니다. 그러나 빛에 대해서는 균질한 물질로 반응하도록 고안되어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보통 물질을 빛이 통과할때는 진행방향에 맞게 굴절하지만, 메타물질을 통과할때는 마치 반사되는 것처럼 굴절시킬 수 있습니다. 메타물질은 음의 굴절률을 가지며, 빛의 경로를 자유롭게 제어할 수 있는 물질로서 그 이용이 주목받고 있습니다. 만약 메타물질로 만든 소재로 물체를 감싸면 그림과 같이 물체의 뒤에 있는 빛을, 물체를 통과하지 않고, 물체의 앞으로 보낼 수 있기 때문에 물체는 보이지 않게 됩니다. 이 방법이 재귀성 반사재에 의한 방법보다, 좀 더 투명 망토의 이미지에 가깝다고 생각됩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