투명인간이 되기 위한 방법 2 - 동화
- 과학
- 2023. 3. 5.
반응형
주변환경과 동화
주변 사람들의 시야에서 벗어나기 위해, 직접 눈으로 들어가는 빛을 차단하는 방법을 생각해 볼 수도 있는데, 흑색은 빛을 모두 흡수하는 소재이긴 하지만, 흑색의 소재를 눈으로 인식할 수 없는 것은 아닙니다. 그러므로 검은 망토를 뒤집어 쓰더라도 모습을 없엘 수 없습니다. 그러나 주위의 환경에 따라서는 눈에 띄지 않게 할 수 있을 것입니다. 예를 들어, 한밤중이라던가, 혹은 빛이 들어오지 않는 어두운 지하실 같은 곳에서 완전히 검은 옷을 입는다면 눈에 띄지 않을 수 있을 것 입니다. 이렇게 시간적, 공간적인 부분에 대해서 치밀하게 고려한다면, 검은 옷의 모습은 거의 눈에 띄지 않게 됩니다. 물론 빛을 모두 흡수하는 소재가 아니어도, 모습을 눈에 띄지 않게 하는 것은 가능합니다. 군복에 사용되는 위장색은 초원이나 정글, 사막같은 전장에서 적의 눈에 띄지 않게 여러색과 패턴을 사용하여 위장을 하고 있습니다. 또, 동물 중에서는 카멜레온이나 문어, 오징어 등과 같이 주위 환경에 맞추어 몸의 색을 변화시켜 의태하는 것도 있습니다.
거울을 사용하는 방법
거울을 사용하여 주위의 경치와 동화하는 방법도 있습니다. 책상 위에 머리가 올려져 있는데, 책상 아래에는 그 사람의 몸통이 보이지 않는다는 마술이 있습니다. 이것은 거울로 주위의 경치를 비추어, 마치 책상 아래에 아무것도 없는 것처럼 보이는 트릭 입니다. 주위의 경치와 동화하는 방법은 광학 위장으로서는 원시적인 방법입니다. 이 방법으로는 투명 인간을 실현할 수 있다고는 말하기 어렵습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