렌즈의 어원이자 고대 문명의 주식 「렌즈콩」
- 과학
- 2023. 1. 18.
많은 말에는 그 말의 근원이 되는 의미가 있습니다. 예를 들어, 빛과 관련된 도구인 거울은 영어로 미러(mirror)라고 하는데, mirror의 어근의 mir-에는 '놀라서 본다'라는 의미가 있습니다. 이것은 '놀랍고, 이상하게 생각한다, 본다'라는 의미를 가진 라틴어 'mirare'에서 유래합니다. 미라클(miracle)이나 신기루(mirage)등의 단어도 같은 어근 mir-를 가지고 있습니다. 확실히 고대의 사람들에게 거울은 놀랍게 보이는 신비하고 귀중한 도구였습니다. 렌즈도 거울과 마찬가지로 빛과 관련된 도구이지만, 렌즈라는 말에는, 보는 의미나, 혹은 빛을 모으는, 물건을 확대해 보는 등의 의미는 없습니다. 사실 렌즈라는 이름은 식물인 콩의 이름에서 유래했습니다. 그 콩의 이름이 바로 '렌즈콩'(Lens culinaris)이라고 합니다. 렌즈 콩은 지중해 연안에서 많이 재배되는 콩입니다.인류와 렌즈콩의 교제는 매우 긴데, 렌즈콩은 수확과 보관이 쉬워서 고대시절부터 사람들이 섭취해 온 식물입니다. 구약 성경 창세기에서는 아브라함의 아들인 이삭이 있고, 이삭의 아들 에사우가 있는데, 이 에사우가 사냥에서 지쳐 돌아왔을 때 쌍둥이 동생 야곱이 요리하고 있던 렌즈콩의 수프를 먹게 하는 대신 그 장자권을 양도한 것이 기록되어 있습니다. 렌즈콩은 사진과 같이 볼록 렌즈와 비슷한 모양을 하고 있습니다. 현대의 우리는 렌즈콩을 보고 '렌즈와 모양이 비슷하다'라고 생각할지도 모릅니다만, 사실은 그 반대로 렌즈의 모양이 렌즈 콩과 닮았기 때문에 렌즈라고 명명되었습니다. 렌즈콩은 영어에서는 lentil, 라틴어에서는 lens, 그리스어에서는 phakos라고 합니다.영어로 눈의 수정체를 lens, 백내장 등에 의한 수정체의 결손을 aphakia(무수정체)라고 합니다만, 이러한 이름도 렌즈콩(렌즈콩)에서 유래하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