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01년 독일의 요한 빌헬름 리터는 1800년 영국 천문학자인 프레드릭 윌리엄 허셜의 열발생 선(적외선)의 발견에 영감을 받아, 태양광 스펙트럼의 보라색 빛 바깥쪽에도 눈에 보이지 않는 빛이 있는 것은 아닐까 생각하고, 이를 실험을 통해 확인해 보기로 결정하였습니다. 실험을 할 때 리터는 염화은의 광화학 반응을 이용하기로 하였습니다. 당시 질산은이나 염화은에 빛을 비추면 흑화되는 현상은 잘 알려져 있었기 때문입니다. 이 현상의 첫 번째 기록은 1614년에 이탈리아의 의사 안젤로 살라(Angeleo Sala)가 태양광을 질산은 분말에 비추면 색이 검게 된다고 보고한 것 입니다. 리터는 태양광 스펙트럼의 다양한 색상의 빛을 염화은에 반응시켜 염화은이 백색에서 흑색으로 변하는 반응 속도를 조사했습니다. 그리..
피부를 태우는 자외선 흔히 선탠(Sun tan)이라고 부르는 일광욕을 통해 피부의 색이 갈색으로 바뀌는 것은 피부 세포에 존재하는 물질이 화학적으로 변화함에 따라 발생합니다. 물질이 화학 변화를 일으키기 위해서는 에너지가 필요한데, 피부를 색을 변화시키는 화학 반응의 에너지원은 태양광에 포함되어 있는 자외선입니다. 자외선보다 파장이 긴 가시광선이나 적외선에서는 피부 색의 변화가 일어나지 않습니다. 가시광선이나 적외선은 피부 색을 변화시키는데 필요한 화학 반응을 일으킬 정도의 에너지를 가지고 있지 않기 때문입니다. 가시광선이나 적외선보다 파장이 짧은, 즉 진동수가 크고 높은 에너지를 가지는 자외선이 피부색 변화를 일으킵니다. 자외선은 파장의 길이로 그림과 같이 UV-A, UV-B, UV-C로 분류됩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