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마 왕국 최후의 왕 「타르퀴니우스 수페르부스」
- 역사
- 2022. 12. 18.
'타르퀴니우스 수페르부스'는 '거만한 타르퀴니우스'라는 의미의 별칭으로 본명은 '루키우스 타르퀴니우스'이다. 그는 실명으로 불리는 일이 거의 없는데, 그의 폭정으로 로마 왕국이 몰락하는 결과를 낳기 때문인 것 같다.
거만한 타르퀴니우스
그는 왕정 로마 다섯 번의 왕 '타르퀴니우스 프리스쿠스'의 친아들이며, 또한 6대 왕인 '세르비우스 툴리우스'의 사위이기도 하다. 타르퀴니우스 프리스쿠스의 아들 2명과 세르비우스 툴리우스의 딸 2명은 각각 결혼했지만, 루키우스의 아내 '큰 툴리아'(당시 로마이 여성은 가문의 성을 여성형으로 하여 그대로 이름으로 하였다)와 동생 '아르룬스'가 사망하면서, 동생의 아내인 '작은 툴리아'(이하 툴리아)와 재혼한 것으로 보인다. 툴리아는 남편이 죽기 이전부터 타르퀴니우스 수페르부스를 유혹하고 있었다는 것 같다. 두 사람은 권력에 대한 상당한 야심이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 타르퀴니우스는 원로원을 찾아가 왕을 비난하고, 그것을 저지하려고 온 왕인 세르비우스 툴리우스를 원로원 밖으로 끌고 가 계단에서 밀어버린다. 그때 자객이 나타나 왕을 암살하였으며, 전승에서는 아직 숨이 있던 왕을 딸인 툴리아가 마차로 치고 지나갔다고 한다. 역사상 악녀라고 불리는 인물은 많지만, 과연 이 정도까지 오면 달리 뭐라 표현할 수가 없다. 그대로 억지로 왕이 된 타르퀴니우스는 자신의 장인이기도 한 전왕 세르비우스의 장례도 치르지 못하게 금지하고, 자신을 따르지 않는 원로원을 숙청하며 공포 정치를 시작한다. 그는 원로원이나 평민회의 승인도 얻지 않고 스스로 왕위에 올라가서, 정책의 조언을 요구하지도 않고 전횡을 일삼았다.내부적으로 어찌 되었든 대외적으로 그는 모략과 전쟁, 외교를 통하여 많은 로마 외부의 문제들을 했다.
루크레티아 사건
타르퀴니우스에게는 '섹스투스 타르퀴니우스'라는 아들이 있었다. 그런데 그 아버지의 그 아들이라고 해야 하는지, 센스투스는 유부녀인 '루크레티아'를 겁탈하는 사건이 발생한다. 루크레티아는 왕인 타르퀴니우스의 조카인 '아룬스 타르퀴니우스'의 아들이자 '콜라티아'의 전 총독인 '루키우스 타르퀴니우스 콜라티누스'의 아내였다. 루크레티아는 사건 이후 아버지와 남편을 찾아가 사건을 고하고 복수를 요청하고 자결한다. 그들은 로마에서 왕과 그의 가족들을 추방할 것을 맹세하고 행동에 옮기기 시작했다. 피투성이가 된 루크레티아의 유해를 '포로 로마노'로 운반하여 연설대 위에 안치하고, 왕과 그 일가에 대해 비판하는 연설을 하면서 이 사건은 로마 전체에 알려지기 시작했다. 타르퀴니우스의 폭정에 대한 내용과 그가 왕좌에 앉기 위해 행한 악행을 상기시키는 연설에 대해 민중의 대다수가 호응했고, 타르퀴니우스는 '에트루리아' 지역으로 도망쳤다. 덧붙여 사건의 범인인 섹스투스는 라틴지역인 '가비이'로 도망쳤으나 이전부터 원한을 가지고 있던 사람에게 살해되었다고 한다.
망명생활과 로마 포위전
로마에서 쫓겨난 타르퀴니우스였지만, 왕좌에 대해 포기한 것은 아니었다. 그는 에트루리아 세력과 연합하여 로마와의 전쟁을 시작하게 된다. 실바 아르시아의 전투에서는 로마군이 승리하였지만, 국지전 등에서는 패배하고 로마가 한때 포위되는 일도 있었지만, 점령하지 못하고 결국 레길루스 호반의 전투에서 패배하면서 좌절하여, '쿠마에'의 궁정으로 가서 495년 사망하였다.
로마 왕정의 몰락
로마의 왕 모두에게 공통되는 것이지만, 모든 내용이 전승이므로 실존하였는지도, 그 공적도 진실인지도 확실하지 않다. 혹은 역사란 것이 기본적으로 그런 것일지도 모른다. 타르퀴니우스 수페르부스에 관해서도 로마 왕정의 마지막 왕이기 때문에 공화정이 탄생하게 된 당위성을 설명하기 위해 희생되었을 수도 있다. 왕조 말기 군주에 대해서는, 그 기록이 새로 세워진 나라에서 쓰이는 만큼, 동서고금을 막론하고 나쁘게 쓰일 수밖에 없기도 하다. 어쨌든 새로 집권한 세력에게 있어서는 자기들위 행위에 정당성이 필요하기 때문에, 악랄한 군주를 추방한 형태를 취해야 하기 때문이다. 중국에서는 자주 있는 것이지만, 로마는 다르다고 말할 수는 없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