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광 분석을 통해 천체로부터 오는 메세지를 해독
- 과학
- 2023. 3. 29.
반응형
천체의 빛 메시지
태양광의 스펙트럼에 D의 암선이 있다는 것은 태양의 표면에 다수의 나트륨 원자가 존재한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이것은 다른 암선을 조사하면 태양에 어떤 원자가 존재하는지를 알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1868년에 인도에서 관측된 개기일식 때 태양의 가장자리로부터 떠오르는 프로미넌스의 빛을 관찰하여, 그 스펙트럼에서 새로운 휘선이 확인되었습니다. 이 휘선은 새로운 원자에 의한 것으로 생각되었고, 그 원자는 헬륨으로 명명되었습니다. 지구상에서 헬륨이 발견된 것은 27년 후인 1895년 입니다. 현재 태양광에는 약 25,000개의 암선이 확인되고 있습니다. 암선은 그 발견자의 이름을 붙여 프라운호퍼선이라고 불립니다. 표는 주요 프라운호퍼선 입니다. 태양과 마찬가지로 우주에 많이 존재하는 항성으로부터 오는 빛의 스펙트럼을 조사함으로써 그 천체에 어떤 원자가 존재하는지를 파악할 수 있습니다.
우주의 팽창
지구로부터 멀어지는 천체의 빛은 도플러 효과에 의해 파장이 길어집니다. 이것을 적색 편이라고 합니다만, 어느 정도 파장이 길어졌는지를 조사하기 위해서는, 기준이 되는 빛이 필요합니다. 이 기준에는 프라운호퍼선이 사용됩니다. 은하의 스펙트럼의 적색 편이로부터, 이 우주가 팽창하고 있는 것을 알게 되었습니다. 이렇게 머나먼 우주 저편의 천체에서 오는 빛에는 천체로부터의 원자 메시지가 담겨 있습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