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기월식과 부분월식
- 과학
- 2023. 2. 6.
밤하늘에 빛나는 달은 스스로 빛을 내고 있는 것은 아니고, 태양의 빛을 반사하고 있습니다. 그러므로 햇빛이 닿지 않는 부분은 빛을 잃고 어두워집니다. 달이 지구를 사이에 두고 태양의 반대편에 왔을 때, 달이 지구의 그림자에 들어가면서 달에 태양광이 닿지 않게 되어 지구로부터 달이 보이지 않게 됩니다. 이것이 월식입니다. 물체가 그림자를 만들 때는 본그림자와 반그림자가 생기게 됩니다. 월식은 달이 지구의 그림자에 어떻게 들어가는지에 따라 분류할 수 있습니다. 그림과 같이 달이 태양에서 보았을때 지구 뒤쪽에 있을 때 월식이 됩니다. 이때 달이 지구의 반그림자에 들어가면 개기반영월식이 됩니다. 또는, 달 전체가 본그림자에 들어가는 경우에 개기월식이 됩니다. 달의 일부분이 본그림자에 들어가면 부분월식이 됩니다. 개기반영월식은 달의 표면에 태양광이 닿고 있습니다. 달은 약간 어두워지긴 하지만 빛나는 것처럼 보입니다. 지구에서 보았을 때 별도의 밝기 비교의 대상도 없기 때문에 매우 알기 힘듭니다. 개기월식 때 달은 어두워지는 것이 아니라 희미한 붉은 색으로 보입니다. 이것은 지구의 대기를 통과하면서 굴절된 태양광이 달의 표면에 도착하기 때문입니다. 달은 지구 주위를 29.5일에 걸쳐 공전하고 있습니다. 그러므로 달이 태양으로부터 보았을떄 지구의 뒤편으로 가면, 즉 한달에 한번은 월식이 일어날 것 같은 느낌이 듭니다. 그러나 달이 지구의 그림자에 들어가는 것은 드문 일이며, 보통 달은 지구의 그림자의 위쪽과 아래쪽을 지나갑니다. 이때 달은 보름달이 됩니다. 또한 평소 보이는 초승달이나 반달 등은 달이 지구의 그림자에 들어간 것은 아닙니다. 태양과 지구와 달의 위치 관계에 의해 달의 표면 일부가 어둡게 보이는 것 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