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계가 오른쪽으로 돌아가는 이유

반응형

시계

최근에는 디지털 시계를 사용하거나, 핸드폰의 시계를 보는 사람이 많기 때문에 아날로그 시계를 찾아보기 어려워졌을지도 모르겠습니다만, 시계 방향으로라고 하면, 누구나 오른쪽 방향인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 입니다. 전세계에는 다양한 문화와 규칙이 있습니다만, 시계가 오른쪽 방향으로 도는 것은 만국 공통 입니다. 왜 우회전이 만국 공통으로 되어 있는가 하면, 그것은 시계의 성립에 관계하고 있습니다. 옛날부터 인류는 태양의 움직임에 의해 아침-낮-밤과 같은 시간의 흐름을 의식하고 있었을 것 입니다. 그리고 태양의 움직임으로부터 정확한 시간의 흐름을 측정하는 해시계가 발명되었습니다. 인류에서 가장 오래된 해시계는 똑바른 막대기를 지상에 꽂아놓은 아주 간단한 형태의 것이었습니다. 기원전 3000년경 이집트에서는 오벨리스크라고 불리는 성전 등에 세워진 기념물의 그림자가 해시계로서 이용되고 있었습니다. 그림자의 위치를 보고 시간을 알 수 있었고, 그림자 길이로 계절을 알 수 있었습니다. 또한 고대 바빌로니아에서도 해시계가 이용되고 있었다는 기록도 남아 있습니다. 해시계는 고대 그리스와 고대 로마에서 계속 발전했습니다. 그런데 인류는 아프리카에서 태어나 북상해갔습니다만, 문명의 대부분은 북반구에서 발전한 것으로 생각됩니다. 해시계의 그림자는 북반구에서 우회전 합니다. 그 후의 시계의 개발도 북반구에서 진행되었기 때문에, 시계의 바늘은 우회전이 되었습니다. 시계 이외에도 회전식의 미터계나 손잡이, 다이얼 등이 우회전인 것도 해시계와 관계가 있다고 생각되고 있습니다. 만약 인류가 탄생했을 때의 지구의 남반구 중심이었다면, 시계 방향은 왼쪽으로 되어 있었을지도 모릅니다.

반응형

댓글

Designed by JB FAC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