빛의 색이 보이는 구조
- 과학
- 2023. 2. 22.
반응형
레이저 광선
프리즘을 이용하여 빛에서 무지개색 띠를 만든 뉴턴은 '빛 자체에는 색은 붙지 않지만 빛은 인간의 시각에 색감을 일으킬 수 있는 능력이 있다'고 말했습니다. 빛은 정말 아무 색도 없는 걸까요? 이과 실험에서 빛이 가는 길을 조사할 때, 적색이나 녹색의 레이저 포인터를 사용하여 광선을 관찰하는 경우가 많이 있습니다. 레이저 포인터의 광선에 색이 있는 것 처럼 보이는 것은, 빛이 공기 중에 떠다니는 먼지같은 미립자로 인해 산란해, 그 산란한 빛을 눈으로 관찰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연기 등을 사용하면 광선이 더 명확하게 보이게 되는 것은 공기 중에 많은 미립자가 떠다니게 되기 때문입니다. 즉, 우리는 광선 그 자체를 보고 있는 것이 아니라, 빛에 비추어져 색으로 빛나고 있는 미립자를 보고 있는 것입니다. 그러므로 전혀 미립자가 존재하지 않는 공기 또는 진공 상태에서 우리는 레이저 포인터의 광선을 볼 수 없습니다. 우리가 색을 볼 수 있는 것은 광원의 물체를 볼 때나 빛으로 비추어진 물체를 볼 때입니다. 즉, 빛이 눈에 들어갈 때만, 우리는 색상을 볼 수 있습니다. 우리가 보는 색은 눈에 들어오는 빛의 파장(진동수)에 의해 결정됩니다만, 빛 그 자체에 색이 붙어 있는 것은 아닙니다. 색은 빛 자체의 물리학적 성격이 아니라 빛을 보는 쪽인 인간의 생리학적 현상으로서 생기는 것입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