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안과 원근 양용 안경
- 과학
- 2023. 2. 17.
노안의 교정
노안 일때 가까운 것이 보기 어려워지는 이유는 노화에 의해 수정체의 조절 능력이 저하되어, 근점이 더 멀어지기 때문입니다. 이 때문에 노안인 사람이 돋보기를 사용하지 않고 책을 읽을 때에는, 책을 정시의 근점보다 더 멀리 놓고 봐야 합니다. 하지만 노안에서는 원점은 변함이 없이 무한대에 있기 때문에, 먼 것은 육안으로도 잘 보입니다. 근시와 원시는 원점이 바뀌는 눈의 굴절 이상이지만, 노안는 근점만 바뀌는 눈의 굴절 이상입니다. 노안은 수정체의 조절 능력이 저하되어 있기 때문에, 초점이 망막 보다 뒷편에 생기게 됩니다. 이러한 노안의 교정에는 빛을 모으는 기능이 있는 볼록 렌즈를 사용합니다. 초점이 맺히는 거리에 따라 어느 정도의 볼록 렌즈가 필요한지는 증상에 따라 결정됩니다.
원근 양용 안경의 구조
안경을 쓰게되면 근점이 가까워지지만 동시에 원점도 가까워지기 때문에 먼 곳을 보는 것이 어려워집니다. 그러므로 보통의 돋보기 안경은 가까운 곳을 볼 때만 사용합니다. 원근 양용 안경은 렌즈를 필요에 따라 굴절률이 다르게 만듭니다. 멀리서 볼 때는 보통 렌즈의 위쪽을 사용하고, 가까이 볼 때는 시선을 낮추고 렌즈의 아래쪽을 사용해서 볼 수 있습니다. 원근 양용 안경에는 경계선이 있는 이중 초점 렌즈와 경계선이 없는 누진 굴절 렌즈가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노안이 온 정시인 사람의 원근 양용 안경은 렌즈의 상부에는 도가 들어가 있지 않고, 하부가 볼록 렌즈로 되어 있습니다.
근시인 사람의 노안
일반적인 근시인 눈은 수정체가 두꺼워져 있기 때문에 눈의 굴절력이 정시인 눈보다 강해지고 있습니다. 그러므로 근시인 눈은 가까운 곳이 잘 보이는 눈이라고 할 수 있을 것 입니다. 근시인 눈은 가까운 곳이 잘 보이는 만큼, 먼 곳이 잘 보이지 않기 때문에, 안경을 써서 눈의 굴절력을 약하게 할 필요가 있습니다만, 교정된 근시의 굴절력은 정시인 눈과 비슷하게 됩니다. 그러므로 안경을 착용한 만큼, 근점은 멀어지기 때문에, 맨눈으로 보는 것 보다 가까이에 있는 것은 보이기 어려워집니다. 이것은 신문 등을 눈에 가까이 해서 어디까지 문자를 읽을 수 있는지로 확인할 수 있습니다. 안경을 쓰고 있을 때보다 쓰지 않았을 때 쪽이 신문을 눈에 더 가까이 해도 볼 수 있습니다. 무엇보다 일상생활에 있어서는, 눈의 수정체의 두께의 조절이 잘 되어 있을 때는, 안경을 쓰고 있으면 먼 것도 가까운 것도 잘 보입니다. 근시인 사람이 노안이 되면, 역시 가까이에 있는 것이 보이지 않게 됩니다. 그러나 근시는 원래 가까이에 있는 것이 보기 쉬운 눈이므로, 가까이에 있는 것이 보기 어려워지는 것을 알 수 있는 것은, 안경을 쓰고 있을 때 입니다. 육안으로는 가까이에 있는 것이 잘 보일 것입니다. 그러므로 근시인 사람은 가까운 곳을 볼때는 안경을 필요로 하지 않습니다. 가까이에 있는 것을 볼 때는 안경을 빼면 됩니다. 그래서 안경을 이마에 걸쳐놓고 신문 등을 읽고 있는 사람도 있습니다만, 근시인 사람은 그것만으로 가까운 곳의 문자를 읽을 수 있게 되는 것 입니다. 먼 곳도 가까운 곳도 잘 보이게 하고 싶을 때에는 원근 양용 안경을 착용하면 됩니다. 일반적으로 근시인 사람의 원근 양용 안경은 상부가 오목 렌즈로, 렌즈의 하부에는 도가 들어가 있지 않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