물체의 색 우리가 주변에서 찾을 수 있는 많은 물체들은 색을 가지고 있습니다. 이러한 물체의 색은 태양이나 전등 등의 광원으로부터 물체에 도착한 빛 중 물체가 흡수하지 않고 반사한 빛의 색으로 결정됩니다. 이와 같이 물체가 특정 색의 빛을 흡수, 또는 반사하면 우리가 그 색을 볼 수 있습니다. 그런데 하늘에 걸리는 무지개나 비누 거품의 막, CD나 DVD의 은색 면은 보통 물체와 달리 빛의 흡수와 반사로 색이 보이는 것은 아닙니다. 어떤 구조로 색이 생기는지 생각해 봅시다. 무지개의 색 1666년 영국의 아이작 뉴턴은 무색의 태양광을 프리즘에 통과시키면, 태양광이 분해되어 빨강에서 보라색까지 연속적으로 변화하는 빛의 색 띠가 나타나는 현상을 실험으로 나타냈습니다. 이러한 현상을 빛의 분산이라고 합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