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턴의 프리즘 실험과 스펙트럼
- 과학
- 2023. 3. 18.
반응형
뉴턴의 프리즘 실험
1666년 영국의 물리학자 아이작 뉴턴은 태양광을 프리즘에 통과시키면 무지개와 같은 연속적인 빛의 색 띠가 나타나는 현상을 발견했습니다. 이러한 현상이 일어나는 이유는 태양광에 포함된 가시광선이 프리즘으로 굴절되어 다양한 색의 빛으로 나뉘기 때문입니다. 뉴턴은 이 연속적인 빛의 색 띠를 '스펙트럼'이라고 명명했습니다.
스펙트럼의 어원
스펙트럼(spectrum)의 어원은 라틴어 'spectrum'에서 파생됩니다. 라틴어 spectrum은 '보는'을 의미하는 specere로부터 파생한 '보이는 것', '나오는 것'을 의미하는 말로, 영상, 투영, 사영이나 유령, 망령을 의미합니다. 뉴턴은 하늘에 걸리는 아름다운 무지개와 어두운 방의 벽에 나타난 환상적인 빛의 색 띠를 보고 스펙트럼이라고 명명했을지도 모릅니다.
스펙트럼이란?
일반적으로 스펙트럼이란 빛의 성분을 파장 순으로 나열한 것을 말합니다. 빛은 파장에 따라 분류할 수 있지만, 스펙트럼도 빛의 파장 범위에 따라 가시광선 스펙트럼, 적외선 스펙트럼, 자외선 스펙트럼, X선 스펙트럼 등으로 분류됩니다. 뉴턴이 발견한 태양광의 빛의 색 띠는 태양광에 포함된 가시광선의 스펙트럼 입니다.
반응형